ESXi 윈도우 10 설치 과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VMware ESXiWindows 10을 가상 시스템으로 설치하는 과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Windows 10을 ESXi에 설치함으로, RDP와 같은 원격 도구를 사용하여 외부망에서도 쉽게 윈도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한국어판 윈도우를 설치하게 되겠지만, 필자는 일본어판으로 설치해 보겠습니다.

Windows ISO 다운로드

Microsoft에서 지금 도구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툴을 다운로드합니다.
MediaCreationTool22H2.exe이 다운로드 되었다면, 실행하여 몇 가지 세부 설정을 따릅니다.

ESXi에 설치할 것이기에,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를 선택하여 ISO 파일을 다운로드하겠습니다.

이 PC에 권장 옵션 사용의 체크를 해제합니다.
이후 설치할 윈도우의 언어를 선택합니다.

여기서 선택하는 언어는, 언어팩을 다운로드하는 것이 아닌, 실제 해당 국가에서 사용하는 윈도우를 다운로드하겠다는 뜻입니다.

보통은 한국어로 설치하게 될 것이니, 한국어를 선택합니다.
필자는 일본어로 설치하여 보겠습니다.

ESXi에 설치할 것이기에, ISO 파일로 다운로드합니다.

ESXi 가상 시스템 생성

다운로드한 Windows.iso 파일을 ESXi의 데이터스토어 브라우저를 통해 적당한 경로에 업로드합니다.

가상 시스템에서 VM 생성/등록을 클릭합니다.

새 가상 시스템 생성을 지정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윈도우를 설치할 것이기에, 위 이미지와 같이 설정해 줍니다.

ESXi에 윈도우가 설치될 위치를 지정합니다.

이후 CPU, 램, 하드 디스크 1의 용량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설정합니다.
필자는 CPU 4, 램 6GB, HDD 100GB로 진행했습니다.

또한, 하드 디스크 1의 왼쪽에 있는 화살표 버튼을 클릭하여 메뉴를 확장합니다.

컨트롤러 위치를 SATA 컨트롤러 0으로 변경하고, SATA (0:0)으로 지정합니다.

그리고 디스크 프로비저닝 설정에서 세 가지 옵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씬 프로비저닝
  • 씩 프로비저닝 (느리게 비워짐)
  • 씩 프로비저닝 (빠르게 비워짐)

씬 프로비저닝 (Thin Provisioning)

씬 프로비저닝은 필요한 만큼의 공간만 실제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할당된 디스크 공간은 지정한 전체 크기로 표시되지만, 실제로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만큼만 물리적 공간을 차지합니다.

EX) 100GB 할당, 50GB 사용 시, 해당 VM에서는 실제로는 50GB만큼만 차지함.

즉, 디스크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초기 저장 공간이 적은 경우에 유용합니다.

씩 프로비저닝 (Thick Provisioning)

씩 프로비저닝은 전체 디스크 공간을 미리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디스크를 생성할 때 지정한 크기만큼의 물리적 공간이 바로 예약됩니다.

EX) 100GB 할당, 50GB 사용 시, 해당 VM에서는 100GB만큼 차지함.

이 방식은 성능이 더 안정적일 수 있으며,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 느리게 비워짐 (Lazy Zeroed Thick):
    공간은 미리 할당되지만, 데이터가 실제로 처음 작성될 때 기존 데이터를 0으로 지웁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처음 작성할 때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 빠르게 비워짐 (Eager Zeroed Thick):
    디스크 공간이 미리 할당되고, 할당된 모든 공간을 즉시 0으로 초기화합니다.
    이 방식은 초기화 시간이 더 오래 걸리지만, 실사용 성능은 더 안정적입니다.


씬 프로비저닝은 디스크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반면,
씩 프로비저닝은 더 나은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적절한 프로비저닝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자의 경우, 윈도우에서 총얼마만큼의 공간을 사용할지 모르므로, 씬 프로비저닝을 선택하였습니다.

이후 네트워크 어댑터 1 왼쪽의 화살표 버튼을 클릭하여 메뉴를 확장하고,
어댑터 유형을 VMXNET 3로 변경합니다.

VMXNET 3는 VMware에서 제공하는 고성능 네트워크 어댑터입니다.
기존의 네트워크 어댑터에 비해 더 높은 성능과 낮은 CPU 사용률을 자랑하며,
특히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하는 가상 머신에서 효율적입니다.

만약 저장소를 추가로 할당해야 한다면,
상단의 하드 디스크 추가에서 기존 하드 디스크를 선택합니다.

보통 RDM을 사용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해당 글에서 RDM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확인해 보세요.

이후 CD/DVD 드라이브 1에서
좀 전에 다운로드한 Windows.iso를 탑재하기 위해 데이터스토어 ISO 파일을 선택합니다.

데이터스토어 브라우저에서 Windows.iso를 선택합니다.

가상 시스템 생성을 완료하고 실행합니다.

Windows 설치

실행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날 것입니다.
필자는 일본어판이기에 일본어로 적혀있지만, 한국어판이라면 한국어로 적혀있습니다.

만약 일본어판으로 설치하시는 분이 계신다면
키보드는 꼭 英語キーボード (101/102キー)로 바꾸도록 합시다.

이게 일반적인 101/102키 키보드이고

이게 일본어 108/109키 키보드입니다.

아래쪽 옵션인 커스텀(Custom)을 선택하여, Windows를 설치할 디스크를 지정합니다.
그런 다음, 일반적인 방법으로 Windows 10을 설치해 주세요.

주의: OneDrive는 개인 기호에 따라 설정하고, 인터넷 설정은 건너뛰어 주세요.
필자는 원드라이브 연동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설치가 끝나고 정상적으로 윈도우가 부팅됐다면,
ESXi 가상 시스템으로 돌아와 VMware Tools의 작업을 클릭합니다.

게스트 운영 체제 > VMware Tools 설치를 클릭합니다.

가상 시스템의 이미지를 클릭하여 윈도우에 진입합니다.

내 PC의 VMware Tools를 더블 클릭하여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정상적으로 이더넷을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입니다.
VMware Tools를 설치하지 않으면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하니 반드시 설치해 주세요.

이렇게 해서 ESXi에 Windows 10 가상 시스템을 설치했습니다.
일반적인 PC에 설치하는 것과 별 다를 바가 없다 보니, 쉬웠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설치 과정에서 고생하셨고, 성공적으로 설치를 마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앞으로도 더욱 효율적인 가상 환경 구축을 위해 추가적인 설정이나 최적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