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Xi 헤놀로지 (XPEnology) 설치 과정

안녕하세요! 첫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선, 제가 개인적으로 경험한 ESXi Synology 설치 방법에 대해 공유하려고 합니다.
이 글은 제가 여러 가지 자료를 참고하여, 직접 설치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한 것이지만, 모든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유일한 정답은 아닐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글을 읽고 따라하시더라도, 독자 여러분의 환경에 맞게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시면 좋겠습니다.

이 방법이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ARPL 부트로더 다운로드

이제 본격적으로 ESXi에 Synology를 설치하는 과정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이 작업을 위해 ARPL(Automated RedPill Loader) 부트로더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부트로더는 Synology를 설치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여러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RedPill TinyCore도 많이 사용되지만, 저는 ARPL을 선택했습니다.
ARPL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설정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론, RedPill TinyCore 역시 좋은 선택일 수 있지만, 이 글에서는 ARPL을 기준으로 설치 과정을 설명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ARPL을 사용해 Synology를 설치하고자 하시는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

필자가 설치한 DSM 버전은 7.1.1-42962 Update 6으로
DSM 7.2부터 Docker가 Container Manager로 변경되었으므로, 익숙함을 원하시는 분이라면 필자와 동일하게 진행하여도 무방합니다.

최신 버전 혹은 스냅샷의 개선을 이용하고 싶은 분이라면 DSM 7.2로 설치하여도 됩니다.

DSM 7.2.2부터 Video Station 패키지가 사라졌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먼저 ARPL v1.1-beta2a 링크를 클릭하여 arpl-1.1-beta2a.vmdk-flat.zip을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해제합니다.

압축을 해제하면 위와 같은 파일이 생길 것입니다.

이후 ESXi 호스트 클라이언트 (이하 ESXi)에서
datastore1 > 데이터스토어 브라우저를 클릭합니다.

적당한 경로를 생성하고, 압축을 해제하여 생긴 두 파일을 업로드합니다.
업로드하면 위 이미지처럼, arpl.vmdk라는 하나의 파일만 보이게 될 것입니다.

ESXi 가상 시스템 생성

업로드가 끝났다면, 가상 시스템 > VM 생성/등록을 클릭합니다.

새 가상 시스템 생성을 지정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가상 시스템의 기초 설정을 위 이미지와 같이 맞추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해당 포스팅에선, 헤놀로지의 호환성이 좋기로 소문 난 DS 3622XS+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중요


여기서부터는 매우 중요하므로, 주의 깊게 따라 해 주시기 바랍니다.
필자의 경우, 이 부분에서 실수를 하여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여러분께서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신중하게 설정해 주세요.

다음 단계에서 요구하는 설정을 정확하게 적용하여, 완벽히 동일한 상태로 만들어야 합니다.

  • CPU 2 이상. 4가 가능하다면 4 권장.
  • RAM 4GB 이상. 8GB/16GB가 가능하다면 8GB/16GB 권장.
  • 하드 디스크 1 (ESXi OS 영역의 더미) 21GB 이상.
  • USB 컨트롤러 1 삭제.
  • CD/DVD 드라이브 1 삭제.
  • 기타 디바이스 추가 > SATA 컨트롤러 추가.

위와 같이 설정하는 이유는 SATA (0:0)을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쉽게 말해, 이는 HDD를 직관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설정입니다.
이 설정을 통해 HDD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팅이 끝났다면 다음 > 완료로 저장해 주세요.

이후 다시 편집 화면으로 돌아와서
하드 디스크 추가 > 기존 하드 디스크를 선택합니다.

위 과정에서 업로드했던 파일을 선택합니다.

다크 테마라서 잘 보이진 않지만, 새 하드 디스크의 왼쪽에 확장 가능한 화살표 버튼이 있습니다.
클릭하여 펼쳐주면 위와 같은 화면이 보일 것입니다.

여기서 컨트롤러 위치를 SATA 컨트롤러 0으로 변경하고, SATA (0:0)으로 지정합니다.

혹여나 MAC 어드레스를 변경해야 한다면, 이 과정에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자는 변경하지 않았기에, 설명을 생략하겠습니다.

변경을 완료했다면 저장하고, 다시 편집에 들어갑니다.

하드 디스크 1 (21GB)을 확장합니다.

컨트롤러 위치를 SATA 컨트롤러 1, SATA (1:0)으로 변경합니다.

저장하고 다시 편집에 들어갑니다.

SCSI 컨트롤러 0을 오른쪽의 X 버튼을 클릭하여 제거하고 저장합니다.

여기까지 모든 과정을 따라 하셨다면, 부트로더에 진입하기 이전의 설정이 모두 완료된 것입니다.
최종 화면이 위와 같이 표시되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동일한 화면이 확인된다면, 이제 전원을 켜 주세요.

ARPL 부트로더 설정

전원을 켜면, 해당 화면이 나타날 것입니다.
3초 후에는 자동으로 다음 단계로 진행되니, 엔터 키를 입력할 필요는 없습니다.

정상적으로 부팅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며 IP가 할당될 것입니다.

브라우저에 IP를 입력하여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날 것입니다.
상하 이동은 키보드 방향키, 선택은 Enter, 뒤로가기는 ESC로 조작합니다.

Choose a model을 선택합니다.

DS3622XS+ broadwellnk를 선택합니다.

42962를 선택합니다.

이후 Choose a serial number를 선택합니다.

입력할 시리얼 넘버가 없는 경우에는 위 항목을 선택하고

입력할 시리얼 넘버가 있는 경우에는 아래 항목을 선택하면 됩니다.

다만, 시리얼 넘버를 입력할 때는 MAC 주소가 일치해야 한다는 얘기가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필자는 DS 918+를 보유하고 있지만, 위 항목으로 진행하였습니다.

Random Serial Number여도 트랜스코딩과 같은 기능을 사용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좌측 상단에서 Serial Number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 Addons를 선택하고, Add an addon을 선택합니다.

해당 화면에서 모든 addon을 설치할 것입니다.

이 화면으로 빠져나올 때까지 Enter만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Cmdline menu를 선택하고, Add/edit a cmdline item을 선택합니다.

위와 같이, Type a name of cmdline에는 SataPortMap을 입력합니다.

오타가 나지 않게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Type a value of ‘SataPortMap’ cmdline에는 88을 입력합니다.

이번에는 DiskIdxMap을 입력합니다.

마찬가지로 오타가 나지 않게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0000을 입력합니다.

혹시나 이렇게 해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아래와 같이 설정해 봅니다.

  • SataPortMap = 888
  • DiskIdxMap = 000000

이후 Advanced menu를 선택하고, Edit user config file manually를 선택합니다.

cmdline에 입력한 SataPortMap과 DiskIdxMap이 올바르게 적용돼 있는지 확인합니다.

Show SATA(s) # ports and drives를 선택합니다.

Ports 1Ports 31이 초록색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해 주세요.

만약 필자의 이미지와 다르더라도, 위의 진행 과정을 동일하게 따라 하셨다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이 경우에는 필자와의 차이를 무시하셔도 무방합니다.

이후 Build the loader를 선택합니다.

파일이 다운로드되면, 화면에서 자동으로 빠져나옵니다.
이때 Boot the loader가 선택된 상태로 나타날 것입니다.
이 항목을 선택하여 부팅을 진행해 주세요.

작업이 끝나면 연결이 종료됩니다.

필자의 경우 위와 같은 문구가 뜬 이후로 정상적으로 작동하였습니다.
동일한 문구가 아니더라도, 큰 문제는 없을 것입니다.

이후 내부망 IP에서 포트를 빼고 DSM에 접속합니다.
필자의 경우 http://192.168.0.xx:7681에서 7681을 빼고 접속하였습니다.

DSM 설치를 진행합니다.

HDD가 삽입되어 있지 않더라도, ESXi OS가 설치된 저장소의 21GB를 할당했기 때문에 문제없이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 진행 중 8%에서 디스크를 포맷할 수 없음이라는 문구가 나타난다면
SataPortMap=88과 DiskIdxMap=0000 설정을 확인해 보세요.

DSM 설치 시, XPEnology는 정품이 아니기 때문에 IP 수집 허용과 자동 업데이트는 반드시 꺼야 합니다.
또한, Synology 계정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이 단계는 건너뛰어야 합니다.
정품 시리얼을 입력하면 사용이 가능하지만, ESXi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굳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설정이 완료되어 DSM 메인 화면이 나타나면, HDD를 추가하기 위해 전원을 꺼주세요.

HDD를 가상화하지 않고 전체를 가상화 시스템에 전달하려면
RDM(Physical Raw Device Mapping)을 사용해야 합니다.

ESXi HDD RDM 설정

RDM을 생성하려면 SSH를 이용해야 하기에, ESXi > 관리 > 서비스 > SSH를 시작합니다.

root로 로그인 하고,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디스크 목록 보기
ls /dev/disks/ -l

명령어를 입력하면, 복잡한 문자열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중에서 vml.로 시작하는 심볼릭 링크 형태의 이름을 주의 깊게 살펴보세요.

이 중에서 파란색 숫자 뒤에 :1 또는 :2와 같은 숫자가 붙지 않는 주소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우측에 표시되는 HDD의 모델명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수로 SSD의 주소를 가져오지 않게 주의하세요.

필자의 경우, 위의 규칙에 해당하는 값을 걸러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vml.01000000002020202020202020202020205a58323059515a52535432303030
vml.01000000002020202020202020202020205a58323059563151535432303030
vml.01000000002020202020202020202020205a58323147523056535432303030
vml.01000000002020202020202020202020205a58323147524339535432303030
vml.01000000002020202020202020202020205a5832314d35434b535432303030

이제 각 HDD의 주소를 복사하여, 아래 명령어에 조건에 맡게 넣어 사용합니다.

vmkfstools -r /vmfs/devices/disks/[HDD 주소] /vmfs/volumes/datastore1/[폴더 명]/[HDD 이름].vmdk -a lsilogic

필자의 첫 번째 주소를 넣은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vmkfstools -r /vmfs/devices/disks/vml.01000000002020202020202020202020205a58323059515a52535432303030 /vmfs/volumes/datastore1/RDM/Xpenology1.vmdk -a lsilogic

경로와 HDD 이름을 적절히 수정하여 사용하세요.

위와 같이 생성된 VMDK HDD를 XPEnology의 기존 하드 디스크에 추가합니다.

데이터/RAID용 HDD는 SATA 컨트롤러 1번에 추가해 주셔야 합니다.
현재 SATA (1:0) 포트는 이미 할당되어 있으므로, SATA (1:1)부터 할당하면 됩니다.

즉, 하드 디스크 1하드 디스크 2는 이미 존재하므로,
하드 디스크 3부터 SATA (1:1) 포트에 할당하면 됩니다.

설정을 저장한 후, 전원을 켜 주세요.

정상적으로 인식이 된다면, 축하드립니다!
모든 과정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입니다.

이후에 진행하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만약 HDD를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면, 설정 과정에서 실수한 부분이 없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해 주세요.

필자의 설명이 모든 상황에 대한 정답은 아닐 수 있지만, 부족한 글을 읽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성공적으로 설치하셨기를 바랍니다.

아, 그리고 보안을 위해 ESXi의 SSH를 중지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앞으로도 ESXi 및 XPEnology에 관련된 유용한 포스팅을 계속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 thought on “ESXi 헤놀로지 (XPEnology) 설치 과정”

Leave a Comment